유튜버 애드센스 5월말까지 세금
구글은 빠르면 올해 하반기부터 미국에서 발생한 소득에 대해 세금을 공제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따라서 구글 애드센스을 사용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국내 크리에이터에게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변경되는 점을 더 자세히 알아보며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세금을 절세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래 본문을 자세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이번 구글 공지는 무엇입니까?
많은 국내 유튜버들이 최근 구글의 세금 공지메일을 받고 놀랐을텐데요. 우선 공지 내용은 이렇습니다. 지금까지 유튜브는 크리에이터들에게 총수입의 45%를 차감 후 55%를 모두 지급했습니다. 하지만 앞으로는 55%에서 세금을 차감한 후 나머지 금액을 지급하겠다는 것입니다.
과세 소득에 해당되는 수입은 유튜브에서 미국 외 거주자 미국에서 벌어 들인 소득을 말합니다. 현재 이 소득에 대해 변화가 있는 것이고 구글이 2021 년 5월 31일 이전에 애드센스 세금 정보를 제출하도록 요청하고 있습니다. 만약 제출하지 않으면 모든 소득의 24%를 원천 징수를 할 수 있습니다.
지금 세금 정보를 제출하면 미국 내에서 발생한 소득에 대해서만 원천 징수가 됩니다. 한미 조세 조약에 따르면 세금의 10%만 납부하면 됩니다. 다만, 계약에 따라 사업 등록 사업자에게는 10%의 세율이 적용되고, 사업자 이외의 일반 사업 소득에 대해서는 30%의 세율이 적용됩니다.
사업자 등록 여부?
우선 유튜브 총 수익의 24%를 세금을 내지 않으려면 5월 말까지 애드센스 세금 정보를 제출해야 합니다. 사업자 등록 여부에 따라 미국 원천 소득에 대한 세율이 30%에서 10%까지 내려갈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이 사업자 등록 여부에 대해 궁금해 하고 있습니다.
물론 한국어로 제작된 영상을 제작한다면 미국에서 수입이 거의 또는 전혀 없기 때문에 굳이 사업자 등록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미국내에서 발생하는 소득은?
미국내 시청자의 동영상 클릭 및 슈퍼 채팅으로 발생하는 모든 광고 수익에 대해 원천 징수가 적용됩니다. 애드센스 계정을 확인하면 국가별 소득을 집계하고 볼 수 있으며 미국 섹션에서 예상 원천 징수 세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국에 납부한 세금은 한국에서 공제되나?
네, 그렇습니다. 국세청은 국내 및 해외 소득에 세금을 부과합니다. 이때 조세 조약에 따라 해외에서 발생한 소득을 기준으로 세금을 해당 국가에 납부하면 세금을 공제한 후 국내에서 납부하게됩니다. 이것을 외국납부세액공제라고 합니다.
원칙적으로 국내 소득 외에 미국 원천 소득도 과세해야하나 구글이 처음에 미국 정부에 세금 공제를 허용했기 때문에 한국에서 세금을 신고하고 납부 할 때이 해당 금액에 대해 공제 할 수 있습니다.
원칙적으로 국내에서도 해외에서 발생한 소득에 대해 세금을 지불하는 것으로 사실 손해가 아닙니다. 그러나 이번에 애드센스 세금 정보를 제출하지 않으면 문제가 다를 수 있습니다. 구글이 올해 5 월 말까지 세금정보를 제출하지 않으면 모든 수익에 대해 24 %를 원천 징수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국외 수입이 크다면 불이익이 더 커질 수 있습니다.
세금을 절약하는 방법
작년 기준으로 약 3,000 명의 크리에이터만이 종합 소득세를 신고했습니다. 실제로 소득을 창출하는 사람들 중 이것은 적은 비율에 불과합니다.
이번 애드센스 세금 정보를 제출 시 10% 세금을 적용받기 위해서는 사업자 등록을하여 TIN (납세자 식별 번호)을 입력해야합니다. 결과적으로 국내 세무 당국은 개인이 아니라 사업자임을 깨닫게되고 세금 징수가 더 쉬워 질 것입니다.
앞으로 거의 모든 소득이 이런 방식으로 공개 될 것입니다. 이제는 세금 신고가 선택이 아닌 의무가 될 것입니다. 따라서 수입을 숨기는 대신 영상 제작에 들어간 비용에 대해 준비를 더 해야 합니다. 자신의 콘텐츠를 만드는데 드는 대부분의 비용을 인증 받으면 세금 절세를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오늘의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 롤러블폰 성공의 KEY가 될것인가 (0) | 2021.04.01 |
---|---|
네이버통장 연 3% 변경 방법 ··· "6월 30일 까지" (0) | 2021.03.30 |
인력사무소 허가조건 알아보자 (0) | 2021.03.17 |
유플러스 알뜰모바일 요금계산 (0) | 2021.03.10 |
자동차 리스 가격 차량 렌트 장기 비용 비교 (0) | 2021.03.09 |